물산업 관련 직업정보, 취업정보, 흥미적성
검사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
- -식수가 각 가정에 공급되기 전 실험분석부에서
이루어지는 과정을 확인
- -위생 안전 기준이란 수도용 자재(배관, 밸브,
수도꼭지 등)의 유해물질 용출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
- -먹는 물에 대한 수질검사, 수처리제(살균소독제 등),
바이러스, 원생동물 검사 등 4개 분야와
하수, 폐수 수질오염도 및 위생안전기준 2개 분야 등
총 6개 분야에 대해 검사
현미경 모형을 통해 실험분석부 소개와 실험실에서 이루어지는 실험방법을 애니메이션으로 체험
1.병원성 미생물 검사(바이러스)
- -동물, 식물, 세균처럼 살아 있는 생물에 기생하고,
세포 안에서만 증식이 가능한 미생물
- -노로 바이러스나 로타 바이러스 등에
감염되면 구토와 설사, 탈수증 등이 나타남
- -샘플을 채취한 후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
빠르게 증식시킨 후 측정
2.병원성 미생물 검사(원생동물)
- -원생동물이란 세균보다 큰 단세포 생물로써, 원시적인 동물형태의 미생물
- -원생동물에 감염되면 복통을 동반한 설사병을 유발
- -샘플을 채취한 후 원생동물을 분리하여 단위면적 당 개체수를 측정
3.물벼룩을 이용한 급성독성 검사
(산업폐수, 하수, 하천수, 호소수 대상)
- -물벼룩을 시료에 넣었을 때의 반응을 관찰하여
인체에 해로운 독성이 있는지 알아내는 실험
- -환경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상태의 어린 물벼룩을
투입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움직임과 상태를 관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