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너 | 아이템 | No | 주요내용 |
---|---|---|---|
모든 것의 시작, 물 | 1-1 | 원형 구조의 하프 서클 영상관을 조성하고 인류 문명의 시작인 물에서부터 물의 소비로 이뤄낸 도시화, 그에 따른 물 부족 위기, 끊어진 물순환 고리를 잇기 위한 노력까지 물과 인간의 관계를 담은 주제 영상 연출 | |
취수_ 삶을 연결하다 |
물자원 | 2-1 | 물로 둘러싸인 지구, 그러나 실제 인간이 수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양은 지구 전체 물의 1%도 안 되는 한정적인 자원임을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모형 연출 |
물의 순환 | 2-2 | 물의 증발, 구름으로 응결, 눈비로 강수, 지표면으로 침투하는 지구 내 물의 대순환과 도시 내에서 정수·하수·폐수·재이용 등 물관리 기술을 통해 순환하는 물의 소순환을 라인조명을 활용한 그래픽패널로 전시 | |
안전한 수자원 | 2-3 | 깨끗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가장 근본적인 대책은 상수원의 수질보존으로 안전한 원수 확보를 위한 환경부의 상수원보호구역 정책과 우리나라 수자원의 특징을 그래픽 패널로 소개 | |
정수_ 맑은 물을 얻다 |
맑은 물, 정수 | 3-1 | 취수장에서 끌어온 원수가 각 단계를 거치며 점차 맑은 물로 정화되는 정수처리과정을 입체 그래픽 패널과 AR영상 체험으로 연출 |
마시는 물, 수돗물 | 3-2 | 수돗물을 마시지 않은 이유, 안전하게 수돗물을 마시는 방법, 수돗물 음용으로 얻을 수 있는 탄소 저감 효과를 그래픽패널로 소개하여 수돗물에 대한 인식 개선를 유도 | |
상수도_ 일상으로 흐르다 |
소중한 물 | 4-1 | 물지게를 직접 지고 영상을 통해 물을 얻으러 가는 길을 체험한느 아이템으로 하루 4시간씩 걸어 얻은 양동이 2개만큼의 물을 우리는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비교하여 전달하여 물의 소중함과 수도시렁의 가치를 소개 |
도시의 혈관 | 4-2 | 도시 내 관리 시설을 상징한 공간에서 현대화 사업을 통해 오염과 누수를 방지하고 편리한 물 사용을 만들어주는 스마트 상수관망의 다양한 기술을 라이팅 패널로 연출 | |
스마트 물관리 | 4-3 | 취수원에서 수도까지 도시의 공급의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미니 통합관제실을 연출하고, 스마트물관리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단수와 같은 위기 상황을 예측하고 해결하는 스마트물관리(SWM)체험 구성 | |
하수_ 미래자원이 되다 |
돌아오는 물, 하수 | 5-1 | 단계별 하수처리시설을 그래픽으로 연출하고, 생활하수에서 점차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과정을 AR영상으로 볼 수 있는 태블릿 비치 |
생활과 하수 | 5-2 | 일일 발생 오폐수의 60%이상을 차지하는 생활하수의 주요 오염물질과 배출방버브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을 라이팅패널로 소개 | |
엄격한 폐수관리 | 5-3 | 생활하수보다는 적은 양이지만 각종 유해 성분 농도가 훨씬 높은 산업 폐수와 주요 오염물질 그리고 1991년 전 국민에게 물관리의 중요성을 알게 해준 낙동강페놀오염사건을 소개하고, 산업폐수가 어떻게 엄격히 관리하고 있는 라이팅패널로 전달 | |
새로운 에너지원 | 5-4 | 하수의 온도차를 활용한 하수열에너지와 하수 슬러지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 및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의 재활용 등 탄소저감 시대에 발맞춰 버리는 물인 줄로만 알았던 하수의 다양한 재이용을 라이팅패널로 연출 | |
재이용_버리는 물, 가치를 찾다 |
빗물공원 (휴게공간) |
6-1 | 모빌, 빗소리, 거울, 조명 복합 연출하며 빗물 체험 공간이자 포토존으로 조성 물 재이용의 필요성을 그래픽패널로 전시하고, 자연의 물 순환체계를 지킬 수 있도록 빗물 침투 및 저류를 증가시키는 LID기법을 RFID태깅 체험으로 연출 및 관람 편의를 위한 휴게 공간 마련 |
우리는 결국 물이다 | 7-1 | 물자원 보존을 위해 일상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스스로와 약속하며 구름으로 서약서를 전송하는 미디어 체험 조성 |